티스토리 뷰
연초부터 시작된 코로나가 계속되면서 집콕하는 시간이 2020년의 연말까지 이어져왔다.
코로나는 끝날듯 끝나지 않고 끈질긴 생명력을 이어가면서, 놀러 갈 수도 없고, 영화도 개봉하지 않아서, 집콕족들의 IPTV와 OTT 이용과 배달앱, 쇼핑등의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청솔모도 재택근무를 너무 오래하다보니 자꾸 뭔가 쇼핑만 하며(리뷰는 쓰다말고.. 완성해야할 블로그 내용만 3개가 넘는다..) 게으른 집콕족으로 사는 와중에 결국 또 물건너 택배가 도착하고야 말았으니, 그것은 바로 가성비가 좋기로 유명한 아마존 파이어스틱 4K(firetvstick 4K) 안드로이드 셋탑이다.
이미 안드로이드TV, 샤오미 미박스4, LGU+ 등 안드로이드 셋탑이나 TV기기가 있는데, 왜 FiretvSitck 을 샀냐고 묻는다면..... 정수기 필터를 구입하다가, 특가로 저렴하게 파는 것을 보고 낚여버렸다..
그렇다. 아마존의 낚시에 당한것이다!
1. 패키지
작다.
파이어스틱은 HDMI 포트에 바로 꽃아서 쓰는 소형 안드로이드 셋탑박스이므로 본체도 작고, 포장도 작고, 내용물도 단촐하다. 미국에서 직구로 물건너온 물건이므로 충전기는 미국형플러그를 가진 USB 5V 1A(총 5W) 출력 제품이 들어있다. 어디서나 흔하게 볼수있는 USB 충전기와 출력이 똑같으므로 굳이 아답터를 사용하면서까지 사용할 필요는 없어보인다.
HDMI 연장젠더의 경우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본체가 HDMI 단자에 직결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 TV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소소하지만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패키지 구성이라는 느낌이다.
비슷하게 4K 를 지원하는 셋톱박스인 미박스4 와 크기를 비교하면 크기 차이는 상당하다.
초소형 셋톱박스(스틱)의 간결함을 알 수 있는 부분.
크기를 줄이다보니 파이어스틱은 많은 슬롯이 생략되어 있다.
전원입력겸 확장기능을 겸하는 MicroUSB 포트 하나 뿐이다. 물론 전원공급이 가능한 USB 허브를 직결하는 방법으로 USB기기를 확장할 수는 있겠지만, 별도의 구입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는 다소 아쉬운 부분.
대조적으로 미박스4는 온전한 형태의 셋탑박스이기 때문에, HDMI 외에도 USB 단자와 3.5 오디오단자도 마련되어 있어서 블루투스가 아니라도 별도의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는 등 확장성 면에서는 더 우위에 있다.
2. 설치
TV의 HDMI 단자에 연결하고 MicroUSB 전원을 연결하면 설치는 끝이다.
하지만 아답터가 있으면 거추장스러우므로 청솔모는 우선 TV에 부착된 USB 에 연결을 테스트 해 봤는데..
전원이 부족하므로 아마존에서 제공한 아답터를 사용하세요. 라는 경고가 뜬다.
Continue without Power Adapter 버튼을 누르면 계속 진행이 되기는 하지만 제 성능을 보이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경고성 메시지로 보인다. 아마존에서 제공한 아답터는 5V/1A 아답터로 5W 의 출력을 내는데, 통상의 USB 2.0 소켓은 5V/0.5A 의 규격이라 출력할 수 있는 전력이 2.5W 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집에서 굴러다니는 삼O전자의 5V/2A 충전기를 이용해서 전원을 공급해주기로 했다.
(갤럭O 노트 휴대폰을 살때 같이 딸려온 녀석인 듯 하다.)
이로서 설치는 끝~ 스틱형 셋톱박스는 역시 단순함이 강점이다.
단점이라면 주로 TV의 뒷면에 위치하다보니 와이파이 신호수신에 다소 불리할 수 있겠다.
3. 설치 후 셋업
청솔모의 영화방 65인치 UHD TV에 연결해서 셋업을 시작했다.
설치를 하면 언어를 선택하게 되어있는데, 한국에 정발되지 않은 제품이기 때문에 역시 한글은 지원하지 않는다.
2020년 하반기부터 아마존이 11번가와 제휴하여 한국에 진출을 하기로 했으니 향후에는 지원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다행히 5G 와이파이는 지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 청솔모는 스펙도 제대로 안 보고 샀다.
안드로이드 기반이지만, 기본적으로 아마존의 서비스를 위해 만들어진 제품이기 때문에 아마존 계정이 반드시 연결되어야 한다. 구글기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구글 계정은 입력을 받지 않는다.
어린이들이 엄한(?) 컨텐츠를 볼 수 없도록, Parent Control도 지원한다고 한다.
물론 현실은 아이들이 부모들보다 최신기술을 잘 다루기 때문에 암호를 입력한다고 해서 정말 엄한 컨텐츠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
아마존앱스토어에 올라온 Informer 앱으로 확인한 대략적인 스펙이다.
- 미디어텍 MTK8695 프로세서 (ARM Cortex-A53 코어)
- 1.5GB 메모리
- 8GB 저장공간
- 블루투스 5.0
- 2.4 및 5Ghz 와이파이 지원
- 4K 60fps, HDR, 돌비비전, 돌비애트모스, 돌비디지털플러스/디지털
(DTS 지원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서 의아했는데, 후술하겠지만 돌비만 지원하고 DTS 쪽은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
4. 기본적인 사용
기본적으로 아마존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런처가 제공되고 있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를 위시하여 아마존과 연동된 각종 서비스가 주요기능으로 우선 보여지는데, 그래도 다행히 넷플릭스, 유투브 앱은 정상적으로 지원된다. (몇 해 전에는 아마존과 구글의 분쟁으로 유투브를 볼 수 없었던 적이 있었다..)
안드로이드 기반이므로 서드파티 앱 설치를 지원하지만,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아닌 아마존 앱스토어를 이용하게 되어있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볼 수 있는 앱에 비해 전체적인 갯수가 적은 편이다. 루팅을 하거나 ADB 밀어넣기 등으로 apk 를 수동설치하는 유저가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아마존 TV 스틱이므로 확실하게 아마존 프라임비디오를 사용할 수 있다.
비록 한글 인터페이스는 아니지만 영상의 한글자막은 제대로 지원한다.
프라임비디오의 Two and a Half men 한글자막
- 유투브 4K
4K 영상을 지원하는 셋톱박스인 만큼 유투브에서 4K 영상을 재생해보니 30fps 뿐만 아니라 60fps 4K 영상까지도 프레임 드랍없이 무난하게 재생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각 영상의 저작권은 해당 영상 크리에이터에게 있다)
유투브 4K 30fps : Norway AMAZING Beautiful Nature with Relaxing Music and sound, 4k Ultra HD
유투브 4k 60fps : 오토뷰 아반떼 리뷰 4K
- 넷플릭스
넷플릭스에서도 무난히 영상이 재생되며, 한글자막 역시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넷플릭스는 돌비를 지원하는 컨텐츠는 정상적으로 5.1 채널이 패스쓰루되어 출력된다.
넷플릭스 : F1 본능의 질주 한글자막
청솔모가 이 영상을 찍는 중.. 루이스 해밀턴이 코로나19 양성판정으로 한 경기를 쉬기로...
5. KODI 를 이용한 NAS 영상출력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OTT 앱을 이용해서 영상을 보는 유저도 많겠지만 안드로이드 셋톱을 이용하는 많은 유저들은 또한 NAS 등의 로컬네트워크 드라이브에 접근해서 영상을 보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아마존 앱 스토어에는 안드로이드 셋톱의 필수설치 앱인 KODI 가 올라가있지 않아서, KODI를 설치하려면 Downloader 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다운로드를 하여 설치를 해야한다. adb 를 이용할 수 있다면 adb로 밀어넣기도 가능하고 ES파일탐색기를 이용해서 수동으로 apk 를 설치할 수도 있다.
청솔모는 Downloader 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KODI 를 설치했다.
NAS의 FTP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SMB(윈도우즈 공유폴더) 로도 직접 NAS 에 접근이 가능하다.
KODI 의 언어팩을 설치하고 나면 메뉴가 한글로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시즌 4까지는 명작이었던 왕좌의 게임...)
KODI 로도 한글자막이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그치만 아무것도 모르는 존스노우
어벤저스 엔드게임을 KODI에서 플레이
- 사운드코덱 문제
그러나... 로컬 영상을 플레이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했던 다채널 사운드코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DOLBY 사운드기반 영상인 경우에는 돌비디지털/애트모스 기반은 패스쓰루가 가능해서 다채널 사운드를 들을 수 있지만.... DTS 인 경우에는 패스쓰루가 되지 않는다. PCM으로 출력하거나 다른 다채널로 인코딩을 필요로 한다. (Plex 등을 이용하면 다른 출력방식으로 트랜스코딩이 가능하다)
또한 돌비의 경우에도 TrueHD 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것은 파이어스틱이 관련 코덱을 지원하지 않는 스펙상의 한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문제다.
물론 대부분의 리시버들은 돌비와 DTS를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DTS를 변환하면 다채널로 들을 수는 있겠지만, 꼭 DTS 로 들어야 하는 유저라면 주의 할 필요가 있다. (Nvidia 실드나 미박스4 의 경우에는 DTS를 지원한다)
아마존과 넷플릭스 같은 OTT 의 경우에는 EAC3 혹은 EAC3+Atmos 코덱을 통한 다채널 출력만 하기 때문에, 블루레이에서 사용하는 TrueHD 는 라이센스 비용 절감을 위해 지원하지 않는 것 같다. 원가절감은 현O자동차만 하는게 아니다
물론 이 내용은 패스쓰루, 5.1채널 리시버가 무엇인지 잘 모르고 사용하는 유저나, 넷플릭스/유투브/프라임비디오등의 OTT서비스만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전혀 몰라도 사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
6. 구글TV 와의 차이점
- 크롬캐스트 대신 미러링
구글TV 기반의 셋톱박스들이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크롬캐스트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 지원되지 않는 소스
그러나 크롬캐스트가 구글의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LG U+ 의 커스터마이징된 셋톱에서 기본적으로 탑재한 것을 보면 충분히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마존의 자존심 때문인지 다소 불편한 스크린미러 기능만 지원한다.
스크린미러링은 앱 사용을 중단하고 미러링 기능을 우선 켠 뒤 미러링을 시도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불편하다.
- 난해한 런처와 유명무실한 아마존 서비스
아마존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들기 위해 제공되는 기본 런처는 스폰서라는 명목으로 광고와 그와 관련된 서비스를 많이 출력하며 이것을 끄거나 배치를 바꿀 수 없게 되어있어. 첫 화면부터 상당히 난잡한 수많은 UI를 맞이하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광고를 표시함으로서 아마존의 수익이 증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드웨어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인만큼 런처는 변경할 수 없도록 제한되어 있다.
물론 이 기능들은 아마존이 정식으로 서비스를 하는 지역에는 유용할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은 아직 아마존 TV가 정식으로 서비스 하는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실효성도 부족하다. 미국의 라이브TV 를 보거나 한글 자막없이 영어공부등을 위해 무료 영화를 보려는 사용자가 아니라면 이 서비스들을 이용할 확률은 극히 낮을 것이다.
물론 이 실효성이 없는 런처를 간결화 하기 위해 루팅을 하거나 adb 로 런처를 강제로 밀어넣는 방법들은 익히 공유되어 있다. (예를들어 github 의 FTVLaunchX : github.com/codefaktor/FTVLaunchX 가 있다.)
그러나 이 편법을 이용한 사용은 라이센스 위반이나 업데이트 후 막히는 문제점들을 안고있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에게 권장할 방법이 아닌 것 같다. 아마존이 런처의 편의성보다 수익성 향상을 위한 UX 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은, 플랫폼의 근본적인 문제이자 한계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솔모 개인적으로는 소프트웨어를 잘 모르는 사용자라면 구글TV 기반의 안드로이드 셋톱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7. 정리
장점
- 저렴한 가격으로 믿을 수 있는 글로벌기업에서 공급하는 4K 안드로이드 셋탑을 사용할 수 있다.
- 아마존 서비스에 최적화 되어있고, 광고를 보는 대가로 프라임비디오등에서 무료로 푸는 영화등을 볼 수 있다.
- HDMI 슬롯에 직결할 수 있는 작은 크기로 TV뒤에 내장시 공간활용이 우수하다.
단점
- 기본 런처와 서비스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다.
- 아마존 앱 스토어에는 앱의 수가 많이 부족하다.
- 기본 아마존 런처는 너무 많은 아마존 광고와 서비스가 표시되어 아마존을 주력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국에서는 유명무실하며 난잡한 느낌을 줄 뿐이다.
- DTS 등의 사운드출력이 다소 아쉽다.
- 안드로이드 기반임에도 불구하고 구글 서비스의 이용이 대부분 제한되어 있다.
구입을 고려해 봄직한 사람
- OS를 마개조하여 저렴한 가격에 괜찮은 성능의 셋톱박스를 사용해보고 싶은 사람
- 아마존의 각종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잘 이용하고 있는 사람
- 영어공부등을 위하여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 원어 방송/영화등을 무료로 이용해보고 싶은 사람
- 조금 불편함을 감수하고 저렴한 가격의 4K 셋톱이 필요한 사람
프라임멤버는 싸게 살 수 있길래 낚여서 사긴 했는데..
이걸 어디에 써야할까....
청솔모의 고민은 계속된다...
'제품 프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팟 나와라? 5만원대 ANC, Haylou T16 (0) | 2021.03.02 |
---|---|
랜공사없이 전기선으로 홈 네트워크를? 텐다 PH3 (0) | 2021.01.23 |
코스트코 TCL 32S6500 안드로이드 TV 사용기 (8) | 2020.06.11 |
Petree 펫트리 고양이 자동화장실 설치 (0) | 2020.01.21 |
샤오미 부기보드 사용기 (10인치) (1) | 2020.01.10 |
- 방문자
- 인터콤자가교체
- 파이어티비 스틱
- 에어팟 프로 vs T16
- 텐다 PH3
- 전기선 랜 구축
- 텐다
- SHT-3625
- 셀프교체
- TCL 안드로이드 TV
- 인터콤셀프교체
- Haylou T16
- 전기선 랜
- 자동급식기
- 헬로우 T16
- 펫킷 엘리먼트 미니
- 전력선 통신
- 고양이
- SHT-308
- 코스트코 안드로이드 TV
- IOT
- 32S6500 리뷰
- 아마존 FireTV Stick #티비스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